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제주박물관
검색
관람안내
예약정보
language
ENGLISH
CHINESE
JAPANESE
주메뉴 열기
주메뉴영역
국립제주박물관에서 전하는 제주이야기
알림
박물관소식
이달의행사
자주묻는질문
이용
관람안내
찾아오시는길
예약안내
봉사활동
전시
상설전시
특별전시
야외전시
VR체험관
교육·행사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포토갤러리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소장자료
소장품검색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도서
소장품 복제·열람
보존처리
문화재기증
수어동영상
소개
인사말
박물관연혁
조직안내
시설안내
미션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관련기준및서식
정보공개수수료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자료
정보공개청구신청
공공데이터개방
소장자료
소장품검색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도서
소장품 복제·열람
소장품복제안내
소장품열람안내
보존처리
문화재
철제
복식
회화
문화재기증
수어동영상
관람안내
평일
10:00~18:00
토,일,공휴일
10:00~18:00
휴관일
1월1일,설날,추석,
매주(월)
문의
064-720-8000
수어동영상
소장자료
>
수어동영상
소장자료
정보공개
알림
이용
전시
교육·행사
소장자료
소개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도서
소장품 복제·열람
보존처리
문화재기증
수어동영상
페이지 공유
인쇄
트위터
페이스북
총 22 건 / 금일 : 0건
게시물검색
타이틀을 지정해주세요(FormBoxClass::setTitle)
제목
내용
작성자
[수어동영상] 22. 삼화지구 독널
삼화지구 독널 큰 독이나 항아리 등의 토기를 널(관)로 사용한 독무덤입니다. 독널의 크기로 보아 어린아이의 주검이나 어른의 뼈를 추려 매장한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시 삼화지구 유적에 있는 독무덤은 제주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하며, 큰 토기 2점을...
등록일
2020-12-24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11
[수어동영상] 21. 중국 동전과 청동거울
중국 동전과 청동거울 제주 산지항에서는 중국 한나라 때 만든 오수전을 비롯해 화천, 대천오십 같은 중국 동전과 청동으로 만든 본뜬거울이 출토되었습니다. 이 유물들은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제주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일본 등과도 교류하면...
등록일
2020-12-15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11
[수어동영사] 20. 꾸미개
꾸미개 제주에서는 경옥, 유리옥, 유리구슬, 납석 등 수입된 재질로 만든 귀한 장신구들이 출토되었습니다. 청동기시대 이후로 점차 수량이 많아지는데, 이는 제주와 다른 지역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줍니다. 옥이 생산되지 않는 제주에서는 때로는 흙으로 빚어 구운 구슬...
등록일
2020-12-08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18
[수어동영상] 19. 옥환
옥환 제주시 삼양동유적에서 출토된 옥환(옥으로 만든 고리)은, 모양이나 형태로 보아 중국이나 낙랑 등의 지역과 교류하면서 건너온 유물이라고 여겨집니다.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에서는 출토된 적이 없고 낙랑 지역이나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비슷한 유물이 발견된 적...
등록일
2020-12-02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2
[수어동영상] 18. 한국식 동검
한국식 동검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서 발견된 청동검으로 검의 날 부분이 곧은 ‘한국식동검’입니다. 한국식 동검은 몸체의 폭이 좁고 끝이 뾰쪽하여 가늘고 긴 형태로 양날이 곧습니다. 또한 검의 모체와 손잡이를 따로 만드는 것도 특징입니다. 청동기가 생산되지 ...
등록일
2020-11-17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2
[수어동영상] 17. 간석기
간석기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는 일반적으로 신석기시대의 특징적인 유물로 꼽히지만, 청동기시대에 본격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나무를 찍거나 패는 돌도끼, 돌도끼에 홈을 파서 줄로 자루에 묶어 나무를 다듬을 때 쓴 홈자귀 등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간석기...
등록일
2020-10-27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7
[수어동영상] 16. 간돌칼
간돌칼 간돌칼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자루(손잡이)까지 있는 간돌칼과 자루 대신 슴베로 나무자루에 결합하여 사용한 간돌칼이 있습니다. 간돌칼은 일상의 생활에서 사용하기보다는 죽은 사람을 위해 무덤에 껴묻거리로 그리고 의례에서 주로 사용되었...
등록일
2020-10-2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40
[수어동영상] 15. 굽 달린 접시
굽 달린 접시 서귀포시 화순리유적에서는 제주에서 보기 드문 굽 달린 접시들이 여러 점 출토되었습니다. 화순리유적은 제주 서남부 해안가에 있는 대규모 마을유적으로 여러 채의 집터와 함께 제사와 관련된 장소로 생각되는 터가 발견되었습니다. 제사 용기로 사용되...
등록일
2020-10-13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52
[수어동영상] 14. 붉은간토기
붉은간토기 붉은간토기는 토기 겉면에 높은 온도에서 붉은색을 내는 산화철을 바르고 매끄러운 도구로 반질반질하게 문질러서 구운 토기입니다. 집터와 생활유적에서도 확인되지만 주로 고인돌이나 돌널무덤의 껴묻거리로 발견되고 있어 의례용으로 많이 만들어졌음...
등록일
2020-10-07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8
[수어동영상] 13. 전복껍질 화살촉
전복껍질 화살촉 선사시대의 화살촉은 대부분 돌이나 금속으로 만들었지만, 제주에서는 전복껍질로 만든 화살촉이 발굴되었습니다. 제주 김녕리 궤네기 동굴유적에서 발굴된 30여 점의 전복껍질 화살촉들은 자루나 살대 속에 들어가는 부분인 슴베가 없는 형태로 의례...
등록일
2020-09-29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45
[수어동영상]12. 삼양동식토기
삼양동식토기 제주시 삼양동유적은 초기 철기시대의 대표적인 마을 유적입니다. 집터, 고상가옥터, 토기 가마터, 쓰레기터, 도랑 유구를 비롯해 다양한 토기 유물이 발굴되었습니다. 특히 이 유적에서 발굴된 특징적인 그릇을 ‘삼양동식토기’라고 부릅니다. 삼양동식...
등록일
2020-09-22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65
[수어동영상] 11. 조개팔찌
조개팔찌 표면이 매끈하고 단단한 투박조개로 만든 조개팔찌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해안의 신석기시대 무덤 유적에서 발견되지만 제주에서는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도 확인됩니다. 조개팔찌는 무덤의 껴묻거리 이외에도 교역용으로 이용되었습니다. 제주 서귀...
등록일
2020-09-15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59
목록
RSS
1
2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최종수정일 : 2021-04-12
유물 검색
통합예약 안내
관람 안내
찾아오시는 길